NS | EVD(External Ventricular Drainage) 관리와 간호

뇌실배액 간호

뇌실외배액(EVD) 정의

EVD(External Ventricular Drainage)는 뇌실 내 출혈, 뇌척수액 과다 또는 축적으로 인해 두개강 내압이 상승될 때 사용됩니다. 외부 뇌실 배액(EVD)은 중력을 이용하여 머리에서 챔버와 백으로 들어가는 얇은 튜브를 통해 뇌실이라고 하는 뇌의 구획에서 뇌척수액(CSF)을 배출하는 임시적인 방법입니다. 튜브는 환자가 수술실에서 전신 마취를 받는 동안 뇌에 삽입됩니다. 튜브를 꿰매고 삽입 부위를 드레싱으로 덮습니다. 출혈액이나 뇌척수액을 배출하여 ICP를 조절합니다. EVD는 Sensor, Tranducer, 기록 장치를 통해 지속적으로 ICP를 측정합니다.

이때 가장 주의할 점은, 이송 중에 뒤집히지 않도록 주의해야합니다. 뒤집히면 air filter가 젖어서 정상적인 배출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동 중에는 꼭 잠궈야합니다.

뇌실외배액 (EVD) 적응증

  • 두부외상
  • 뇌출혈
  • 뇌종양
  • 두개내 감염
  • 수두증
  • 두개내 압력 상승

뇌실외배액 (EVD) 삽입후 환자관리

EVD는 전신 마취 하에 수술실에서 삽입됩니다. 이 수술은 burr hole 을 통해 뇌의 측뇌실 중 하나에 배액 카테터를 삽입하는것을 포함합니다. 그런 다음 카테터는 배액 시스템에 외부로 연결됩니다. 수술 후 지시 사항은 3방향 탭위치, 드레인 설정, 드립 챔버 높이 등 드레인 관리에 관한 지침 제공을 포함합니다.

1) 배액관 높이는 주치의 처방에 따라 귓구멍기준(foramen of Monro or Tragus) 0 ~ 15cm 적용하며, 뇌척수액의 진동,파동(Pulsation, Oscillation), 색깔과 투명도 관찰 및 배액량을 관찰, 측정, 기록한다.
2) 두 개 내 Sensor, Tranducer, 기록 장치에 의해 지속해서 ICP를 측정한다.
3) 지나치게 빠른 CSF 배액은 뇌간탈출(Brain Stem Hernia)을 유발시키므로 조심힌다.
4) EVD로 배액이 안되는 경우 주치의 처방에 따라 혈전용해제(Urokinase)을 사용한다.
5) 기침, 체위변경, 흡인간호 등 ICP 상승 시킬수 있는 상황시 EVD Clamping 하도록 한다.


※ SDD(Subdural Drainage)
EVD와 배액도구는 같으나, Catheter tip 위치가 다르다.
EVD – > 뇌실(Ventricle), SDD – > 경막하(Subdural)

뇌실외배액 EVD(external ventricular drainage) 관리

목적

뇌실내 출혈이나 뇌척수액 과다 또는 축적으로 인해 두 개강 내압이 상승되고 의식이 악화될 때 출혈액이나 뇌척수액을 배액시켜 두개강 내압을 조절하기 위함.

두 개내 sensor, tranducer, 기록장치에 의해 지속적으로 ICP(intracranical pressure)를 측정하기 위함.

① 높이는 주치의 지시대로 유지한다.

② 드레싱이 더러워지거나 젖는 것을 피한다.

③ 배액체계를 교환하거나 드레싱 시에는 완전 멸균술을 적용해야 한다.

④ 매 duty별 드레싱이 건조하고 폐쇄적이며 깨끗한지 관찰한다.

⑤ 매 duty별 drain이 원활하게 잘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⑥ suction을 하거나, position change를 할 때, EVD clamping할 후 시행합니다. 실시 후 clamping은 반드시 열어주어야 한다. (잠긴 상태로 유지된다면 배액이 진행되지 않아 ICP 상승으로 인한 BP 상승이 발생할 수 있다.)

⑦ 체온과 백혈구 수치의 급격한 상승, 신경외과적 상태 변화, 삽입부위의 뇌척수액 누수 등이 있을 시 의사에게 알린다.

⑧ 의식이 명료하지 않은 환자인 경우 필요시 억제대를 사용하며, catheter가 빠지지 않도록 관리한다.

참조

  1. Medtronic EVD 제조업체 페이지
  2. EVD 및 LD에 대한 수술 전후 가이드. 신경 과학, 마취 및 중환자 치료 학회
  3. Cadena R, Shoykhet M, Ratcliff JJ. 응급 신경학적 생명 유지: 두개내 고혈압 및 탈출. 뉴로크릿 케어
  4. Sorinola, Abayomi, 외. “외부 심실 배수관 감염의 위험 요소: 향후 연구 모델 제안.” Frontiers in Neurology 10 (2019): 226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