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암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갑상선암 간호진단

과다한 객담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

갑상선암 환자는 종양의 압력 또는 종양 주변의 부종으로 인해 목의 압력이나 천자의 압박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호흡 양상이 변화하고, 특히 수면 중에 과다한 객담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환자의 편안함과 숨을 쉬는 것에 어려움을 줄 수 있으며, 적절한 관리와 호흡 연습이 필요합니다.

건강상태의 위협 또는 변화와 관련된 불안

갑상선암 진단은 환자에게 건강 상태의 위협을 야기하며, 이로 인해 불안과 정서적 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환자는 종양의 크기, 암의 치료 방법, 그 밖의 건강 관련 변화로 인한 불안을 겪을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환자에게 정서적 지원을 제공하고 불안을 관리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피부긴장도 변화, 처치(방사선요법)에 근거한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

방사선 요법은 갑상선 암 환자 중 일부에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부 변화 및 피부긴장도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피부는 방사선에 노출되면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이 있습니다. 간호사는 피부 관리 및 피부 건강을 지원하고 피부문제를 관찰하며 조기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불안과 환경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갑상선암 진단과 관련된 환경 변화와 불안은 수면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환자는 진단 후의 불안, 치료, 및 환경 변화로 인해 수면 문제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수면 습관을 평가하고, 수면 장애를 관리하며,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식별하여 개선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갑상선암 간호진단

과다한 객담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

간호목표 (Nursing goals) 

<장기 목표>

대상자는 객담이 감소되어 효과적인인 호흡양상을 보일 것이다.

<단기 목표>

대상자는 4월 30일까지 sp02를 90%이상으로 유지할 것이다.

대상자는 4월 30일까지 호흡곤란 호소가 줄어들 것이다.

대상자는 4월 30일까지 객담이 줄어들 것이다.

간호계획 및 중재 (Nursing plan & Nursing intervention )

1. 환자의 호흡양상(호흡 수, 리듬, 호흡음, 청색증 등) 및 혈액 산소포화도(SpO2)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모니터링 한다.

2. 환자를 Fowler’s positon을 취하도록 하고 건조하거나 먼지가 많은 환경을 피하고, 실내 공기 청정기를 사용하도록 한다.

3. 대상자의 호흡이 원활해 질 수 있도록 기도의 분비물을 제거한다.

4. 환자가 호흡곤란이 있는지 확인하고, 숨이 찰 시 의료진을 호출하도록 하고, 심호흡 방법을 교육한다.

5. 호흡이 원활할 수 있도록 nebulizer를 실시한다.
– 객담 배출이 용이하도록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 의약품의 부작용 및 상호작용에 대해 환자를 교육한다.

6. 처방에 따라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한다.
– 산소 농도 및 흡입량을 의사의 지시에 따라 조절한다.

7. 동맥혈 가스분압, 칼슘 이온 농도를 모니터링 한다.

이론적 근거 (rational)

1. V/S은 신체내부의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온·육체적 활동·질병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한다. 또한 평소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기초자료를 제공해준다.

3. suction은 기도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의 개방성 유지하고 가스교환이 용이하도록 하며 호흡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4. 대상자에게 자신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대상자에 상태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5. nebullizer는 산소를 공급하여 호흡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실시한다.

7. 기도폐쇄와 관련한 환기기능을 점검하기 위해서이다.

평가 (Evaluation)

– sp02를 측정한 결과 6A시에는 98&%, 14pm에는 92%, 18pm에는 95%가 측정되었다.

– 대상자의 호흡을 측정한 결과 6A시에는 26회, 14pm에는 24회, 18pm에는 28회로 측정되었다.

건강상태의 위협 또는 변화와 관련된 불안

건강상태의 위협 또는 변화와 관련된 불안

간호목표 (Nursing goals) 

<장기목표>

대상자는 불안이 감소되었다고 표현할 것이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5월 2일이내 불안을 조절하는 방법을 본인 스스로 3가지 이상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계획 및 중재 (Nursing plan & Nursing intervention )

1. 대상자의 불안 상태를 사정하고, 불안을 증가시키는 원인을 확인한다.

2. 대상자에게 불안을 조절하는 방법(예: 이완, 심호흡 등)을 교육 한다.

3.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고,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4. 대상자의 말에 주의깊에 경청하고, 대상자와 치료적 관계를 유지한다.

5. 환자의 건강상태에 대해 설명하고 치료과정에 대해 정보를 제공한다.

6.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여 환자의 감각자극을 줄인다.

7. 의사 처방에 따라 항불안제를 투여한다.

이론적 근거 (rational)

1. 불안 상태를 사정하고 환자의 불안을 증가시키는 원인을 파악하여 간호계획을 세울수 있다.

2. 교육을 통해 환자 스스로 불안을 조절 할 수 있다.

4. 주의 깊은 경청은 환자와 간호사 사이의 신뢰감을 강화한다.

5. 적절한 정보는 환자의 조절력을 증가시키고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불안을 감호한다.

6. 주변의 과도한 대화, 소음 및 장비로 인해 불안이 공황 상태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7. 항불안제를 단기간 사용하면 환자의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고 불안의 생리적 증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불안으로 인한 불편함이 심각한 고객은 주로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응급 불안 치료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불안이 더 심한 환자의 경우 속효성 항불안제를 단기간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Bhatt & Bienenfeld, 2019).

평가 (Evaluation)

– 대상자가 불안이 감소되었다고 표현한다.

– 환자는 불안을 대처하는 방법을 3가지 이상 말로 표현하고 실천할 수 있다.

피부긴장도 변화, 처치(방사선요법)에 근거한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

간호목표 (Nursing goals)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할 동안 피부 손상이 없을 것이다.

<단기목표>

보호자는 욕창에 대한 위험성을 알고 욕창 예방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간호계획 및 중재 (Nursing plan & Nursing intervention )

1. 대상자의 피부상태(피부괴사, 말초부종, 말초순환 상태) 사정한다. 

2. 보호자에게 대상자의 욕창 예방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한다.

3. 환자를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하고. 욕창 예방을 위해 에어 매트리스를 사용한다.

4. 환자의 피부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적절한 피부 보호제나 보습제를 사용하여 건강한 피부 상태를 유지합니다.

5. 환자의 영양 공급을 최적화하고 단백질, 비타민 및 미네랄 섭취를 증가시켜 피부 회복을 지원합니다.

이론적 근거 (rational)

1.피부상태를 사정하여 욕창발생의 조기발견이 가능하며 또한 예방할 수 있다.

2. 욕창예방의 중요성을 인식하면 욕창의 위험성을 알고 욕창을 예방하는데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다.

3. 체위 변경은 신체의 한 지점에 대한 지나친 압력 편중을 감소시킨다.

4. 피부가 청결하지 않고 젖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균이 쉽게 번식한다.

5.부적절한 영양 섭취는 환자의 피부 손상 위험을 초래하고 치유를 저해하여 피부 통합성을 손상시킵니다.

평가 (Evaluation)

-보호자가 욕창에 대한 위험성에 대해 3가지 이상 설명하였다.

– 환자에게 퇴원시까지 욕창이 발견되질 않았다.

불안과 환경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불안과 환경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간호목표 (Nursing goals) 

<장기 목표>

대상자는 정상적인 수면양상을 보일 것이다.

<단기 목표>

-대상자는 하루에 6~8시간의 수면을 취한다.
-수면 부족으로 인한 신체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대상자는 수면의 방해요인이 사라졌다고 말한다.

간호계획 및 중재 (Nursing plan & Nursing intervention )

1. 대상자의 수면양상(수면시간, 수면의 깊이 등) 및 주간 활동양상을 사정한다.

2. 수면부족과 관련된 증상을 사정한다. (표정, 피부탄력성 등)

3. 대상자의 수면을 방해할 수 있는 요인을 사정하고 제거한다.

4. 취침 전 과식, 음주, 카페인, 흡연을 피하는 등 적절한 음식과 수분 섭취에 대해 환자에게 교육한다.

5. 환자에게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론적 근거 (rational)

1. 개인마다 수면 패턴이 다르기에 사정을 통해 환자의 수면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3. 수면방해요인을 사정하여 제거하는 것은 대상자의 수면 양상 회복하는데 가장 중요하다.

4. 취침 직전에 과식를 하면 위장 장애가 발생하고 수면 시작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 차, 초콜릿, 콜라 등은 신경계를 자극합니다. 이는 환자가 긴장을 풀고 잠드는 데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알코올은 졸음을 유발하고 수면 시작을 촉진할 수 있지만 렘수면을 방해합니다.

5. 수면에 도움이 되는 환경은 최소한의 소음, 편안한 실내 온도, 매트리스, 베개, 적절한 환기 및 조명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평가 (Evaluation)

– 대상자의 수면시간이 1일 2~3시간에서 5~6시간으로 늘어났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