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S | Cerebrovascular disease 신경계중환자 뇌졸중 간호

신경계 중환자 간호

신경계중환자 중 뇌졸중의 대해 전반적인 내용을 설명하는 글입니다.

뇌졸중(Stroke) Cerebrovascular disease(attack)

Cerebrovascular disease 신경계중환자 뇌졸중의 종류

뇌졸중의 종류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

혈전성 뇌졸중(thrombotic stroke): 60% Atherosclerosis lipohyalinosis

색전성 뇌졸중(embolic stroke): 20 % cardiogenic embolism artery-to-artery embolism

출혈성 뇌졸중(Hemorrhagic stroke) – 20% ICH SAH Aneurysm 동정맥기형(AVM)

뇌졸중의 위험인자

💡 조절할 수 없는 위험요인

  1. 나이 : 고령
  2. 성별 : 남자
  3. 가족력

💡 조절할 수 있는 위험요인

  1. 고혈압
  2. 흡연
  3. 당뇨병
  4. 경동맥 협착
  5. 심방세동
  6. 심장병
  7. 고지혈증 (콜레스테롤)
  8. 비만
  9. 운동부족
  10. 영양결핍
  11. 호모시스틴혈증
  12. 과음

뇌졸중의 증상

초기 경고증상

  1. 혈전성뇌졸중=TIA(일과성 허혈발작)=일시적 반신부전, 언어장애, 편측 감각마비 등
  2. 색전성 뇌졸중=경고 증상 없음
  3. 고혈압성 출혈성 뇌졸중=심한 후두골 통증, 현기증, 실신, 감각장애 등

의식수준 변화와 인지 장애

  1. 우뇌반구 : 시각, 공간, 고유 수용감각 담당 ⇒ 장애 시: 시간, 장소에 대한 혼돈, 판단력 저하, 인격변화 편측 무시 증상 (neglect syndrome)
  2. 좌뇌반구 : 언어중추, 수학적 능력, 분석적 사고기능 담당 ⇒ 장애 시: 실어증(aphasia), 실독증, 실서증, 계산불능증

반신마비(hemiplegia),반신부전마비(hemiparesis)

  1. 대뇌피질의 운동영역, 추체로 손상 시 : 반대쪽의 마비
  2. 그 외 손상 시 : 반신감각마비, 반맹증, 실행증 등
  3. 초기단계 : 이완성 마비(flaccid paralysis, hypotonia), DTR ↓(저하)→ 강직성 마비(spasticity), DTR ↑(상승)
  4. 수의근 손상 시 : 굴곡근과 신전근의 불균형으로 팔 : 내전, 내회전 팔꿈치, 손가락, 손목 : 굴곡 고관절 : 외회전 무릎 : 굴곡 발목 : 굴곡, 외번

감각지각 장애

  1. 실행증(apraxia) : 근력이나 감각, 조정능력이 있어도 익숙하고 의도적인 행동의 실행이 어려움
  2. 편측무시증후군(unilateral neglect syndrome) : 우뇌반구 손상 시 시각인지와 공간인지 기능 저하로 좌우, 위아래 구별 어려움, 마비된 쪽 인지 못함
  3. 시력변화 : 반맹증(hemianopsia) –시신경로(두정엽과 측두엽 병변) or 후두엽 손상 시, 동측반맹증이 흔함
  4. 실인증(agnosia) : 시각, 청각, 촉각, 기타 감각 정보의 해석 장애(감각은 있으나 물체를 인식하지 못함)

실어증(aphasia)-뇌손상으로 인함

  1. 감각언어 실어증 =베르니케 실어증=유창성 실어증
  2. 언어 이해 능력의 장애 운동언어 실어증 =브로카 실어증 =비유창성 실어증
  3. 언어구사 능력 장애, 소리와 음절을 만들지 못함 완전 실어증

구음장애(dysarthria) – 뇌신경장애로 인함

  1. 입술, 혀, 후두의 근 쇠약 or마비로 발음이 불완전한 것 발음장애, 말이 어눌함 읽기와 쓰기는 가능
  2. 저작(제5뇌신경)과 연하(제5.7, 9, 10뇌신경)곤란
  3. 배뇨장애

뇌졸중의 진단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 자고 일어난 후 증상이 이미 발생한 경우
  • TIA를 경험한 후 발생한 증상
  • 신경학적 증상이 심해도 두통을 호소하지 않으며 의식이 깨끗한 경우(마비>의식장애)
  • 신경학적 증상이 가볍거나 곧 호전되는 경우
  • 평소 심장병,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

뇌출혈(cerebral hemorrhage)

  • 활동 중 특히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 증상이 생긴 경우
  • 처음부터 두통이 있으며 구토하는 경우
  • 빠른 속도롤 신경학적 증상이 악화되며 점차 의식이 흐려 지는 경우(의식장애>마비)
  • 평소 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았거나 최근 술을 무척 많이 마신 경우

임상진단

  • History
  • Physical examination & Neurologic examination
  • -의식수준, 인지변화, 운동변화, 감각기능 변화, 뇌신경 검사, NIHSS, V/S
  • Brain CT, MRI
  • Additional study
  • angiography, EEG, 요추천자
  • sonography : TCD(미세혈전과 혈관경련 확인)
  • metabolic imaging : PET(뇌졸중 후 조직손상범위 확인), SPECT 검사실 검사
  • glucose, cholesterol, CBC, PT/APTT(INR) 등

Brain Imaging

  • noncontrast CT : SAH, ICH, SDH 판단
  • 뇌경색의 CT : 경색부위가 검게 나타남(low density) 발병 24시간 이내에는 경색부위가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음
  • 뇌출혈 CT : 출혈부위가 희게 나타남(high density)
  • MRI : 뇌경색 초기진단 시 CT보다 특이성 높음
  • MRA : 혈관폐색질환 사정 시
Brain Imaging

뇌졸중 간호진단 및 케이스스터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