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급성 통증 간호진단 : 간호중재 및 이론적 근거 [간호진단]

급성 통증 Acute pain

정의

실제적이거나 잠재적인 조직손상과 관련되거나 이런 손상을 기술 하는 불쾌감이나 감정의 경험으로(국제통증연구회,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 경한 수준에서 심한 강도까지 급성 또는 천천히 발생하며, 끝이 예상되거나 예견되는 유형

정의적 특성

■ 식욕의 변화
■ 생리지수 변화(예: 혈압, 맥박, 호흡수, 산소 포화도, 이산화탄소)
■ 발한
■ 산만한 행동
■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경우 체크리스트로 사정하는 표준 통증행위(예: 신생아 통증척도, 의사소통이 안 되는 노인을 위한 통증사정척도 등)
■ 통증을 표현하는 행동(예: 안절부절못함, 울거나 경계하는 모습)
■ 통증을 표현하는 표정(예: 광택 없는 눈동자, 지친 모습, 고정되거나 산만한 움직임, 찌푸린 얼굴)
■ 경계하는 행동
■ 절망감
■ 좁은 초점(시간에 대한 인지변화, 사고과정 장애, 대인관계나 환경과의 상호작용 감소)
■ 통증을 완화하는 자세
■ 방어적 행동
■ 통증행동에 대한 주변의 보고(예: 가족, 돌봄제공자)
■ 동공 확대
■ 통증강도의 자가보고(예: FACES, VAS, NRS)
■ 통증 양상의 자가보고(예: 맥길 통증척도, BPI)

관련 요인

  • 생물학적 손상 요인(예: 감염, 허혈, 종양)
  • 화학적 손상요인(예: 화상, 캡사이신, 메틸렌 클로라이드, 겨자 작용제)
  • 신체적 손상요인(예: 농양, 절단, 화상, 절상, 무거운 것 들기, 수술절차, 외상, 과도한 훈련)

급성 통증 간호진단 예시

  • 수술 절개와 관련된 급성 통증

이 진단은 수술을 받은 환자가 수술 부위에 통증을 느끼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복부 수술 절개와 관련된 급성 통증은 환자가 절개 부위의 통증을 말로 표현하는 것, 얼굴을 찡그리는 것, 경계하는 행동 등에서 알 수 있습니다.”

  • 외상이나 부상과 관련된 급성 통증

:이 진단은 통증을 초래하는 외상이나 부상을 경험한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심각한 통증, 심박수 증가 및 움직임 불편함을 환자가 보고한 것으로 입증된 대퇴골 골절과 관련된 급성 통증”입니다.

  • 의학적 상태와 관련된 급성 통증

: 이 진단은 급성 췌장염과 같은 의학적 상태로 인해 통증을 경험하는 환자에게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심각한 복통, 메스꺼움 및 불안에 대한 환자의 불만으로 입증되는 급성 췌장염과 관련된 급성 통증”입니다.

  • 수술 후 회복과 관련된 급성 통증

: 이 진단은 최근 수술을 받고 회복 중에 통증을 경험하는 환자에게만 해당됩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절개 통증, 이동 곤란 및 진통제 요청에 대한 보고로 입증되는 충수절제 수술 후 회복과 관련된 급성 통증”입니다.

  • 감염 또는 염증과 관련된 급성 통증

이 진단은 감염 또는 염증 상태로 인해 통증이 있는 환자에게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하지의 봉와직염과 관련된 급성 통증은 국소적인 통증, 발적 및 부종에 대한 환자의 보고에 의해 입증됩니다.”

  • 시술적 중재와 관련된 급성 통증

이 진단은 환자가 의료 시술 중 또는 후에 통증을 경험할 때 관련됩니다. 예를 들어, “드레싱 교체 중 통증과 불안에 대한 환자의 보고로 입증된 상처 드레싱 교체와 관련된 급성 통증”입니다.

  • 근골격계 긴장과 관련된 급성 통증

이 진단은 근골격계 긴장이나 부상으로 인해 급성 통증이 있는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요추 부위에 갑자기 통증이 시작되고 운동 범위가 제한된다는 환자의 보고에서 입증된 허리 좌상과 관련된 급성 통증”입니다.

급성 통증 간호중재

간호중재 및 이론적근거

1. 환자 사정

  • 환자가 처음 입원 했을 때 PQRST(통증의 위치, 통증의 양상, 통증악화/완화요인, 통증의 강도, 통증의 시작 및 시간적 양상)와 통증력(pain history)을 사정한다.

이론적 근거

통증사정(스크리닝)은 효과적인 통증관리를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Cancer Care Ontario, 2008; Dewar, 2006) 외래방문및입원시, 의학적상태변화시, 시술이나처치전과도중에반드시확인해야한다. 급성 이든 만성이든 통증이 치료의 초점이 되지 않을 때까지는 환자가 의료기관을 방문할 때마다 통증을 사정 하는 것이 중요하다(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AMDA], 2012; Cancer Care Ontario, 2008; RNAO, 2007)

  • 숫자 통증 등급(Numeric Rating Scale)(예: 0~10점)를 사용하여 통증의 강도를 평가하고 초기 통증 점수를 기록합니다.

이론적 근거

European Association of Palliative Care에서는 표준화된 통증사정도구로 numerical rating scales (NRS), visual analogue scales (VAS)(부록3-2), verbal rating scale (VRS)(부록3-3)을 권장하고 있다(SIGN, 2013).

  • 3세 이상 소아, 의사소통장애가 있는 성인 그리고 노인환자에게는 얼굴 통증 등급(Faces Pain Rating Scale)틀 통해 통증을 사정한다.

이론적 근거 :

Faces Pain Scale (FPS)은 Bieri, Reeve, Champion, Addicoat 및 Ziegler (1990)에 의해 아동의 통증강도를 사정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로, 통증정도에 따른 얼굴표정의 변화를 7단계로 제시하여 통증강도 를 측정하는 객관적 통증 평가방법이다

FPS-R은 아동의 통증강도를 사정하기 위해 개발되었지만 노인의 통증 사정 시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고,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노인 들이 통증강도를 표현하는데 자주 선호하는 도구이다(Herr, et al., 2007; Li, Herr, & Chen, 2009; Ware, Epps, Herr, & Packard, 2006; Zhou, Petpichetchain, & Kitrungrote, 2011).

  • 3세 미만의 소아나 의사소통이 불가능 환자의 경우 . FLACC 등급을 통해 통증을 사정한다.

표 3. FLACC 등급(Face-Legs-Activity-Cry-Consolability Scale)

출처 : Merkel S. (1997). A behavioral scale for scoring postoperative pain in young children.
Pediatric Nursing. 23(3)

  • 환자의 병력, 알레르기, 현재 복용 중인 약물을 평가합니다.

2. 약물 중재

  • 의사의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또한 통증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에 대한 잠재적인 유해성을 줄이기 위하여 적절한 진통제를 사용한다.

    진통제는 다음의 요소를 고려하여 선정한다.
    -병력과 동반질환
    -현재의 의학적 상태
    -간기능과 신기능
    -치료목적
    -진통제의 부작용
    -진통제와 상호작용하거나 영향을 주는 다른 약물
    -약물과 질병과의 상호관계
  • 환자에게 약물의 올바른 사용, 잠재적 부작용 및 관련 위험에 대해 교육합니다.
  •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통증 완화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약물 복용량을 모니터링한다.

이론적 근거

  • 진통제를 선정할 때 진통제의 효과와 약물작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자의 병력과 동반질환, 복용중인 약물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통증관리의 목표를 수립해야 한다. 노인의 생리적 변화는 부작용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진통제 용량을 낮은 수준에서 시작하여 환자의 반응을 보면서 서서히 증량해야 한다. 특히 신기능이나 간기능 저하는 NSAIDs와 마약성 진통제의 배설을 저하시켜 체내에 약물을 과다 하게 축적시키므로 약물투여가 반복됨에 따라 독작용이 증가할 수 있다(Liukas, et al., 2008; 2011; Abdulla, et al., 2013).
  • 통증관리의 목적은 통증을 줄이면서도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량을 줄여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에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통증관리양식(multimodal regimen)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급성통증에서 마약성 진통제를 한 번에 두 가지 이상 사용하는 것을 피하도록 권고하고 있는데 이는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할때발생하는부작용의 원인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하며. 복용하는 마약성 진통제의 종류가 증가할 때 섬망이나 다른 부작용의 발생도 증가할 수 있어 효과적인 통증관리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Cornelius, et al 2016).

3. 비약물적 중재

  • 온열 또는 냉요법, 이완 요법, 침술요법 등 비약물적 중재를 교육하고 실시한다.
  • 통증 완화 및 전반적인 웰빙을 위해 식단 및 운동과 같은 생활 습관 수정을 권장합니다.
  • 통증완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안위중재를 고려한다.
    • 편안하고 치유적인 환경을 조성한다. (예: 적절한 조명 및 소음 감소, 사생활 보호, 방문자 제한 )
    • 최적의 안위와 기능을 위해 체위와 신체선열을 유지한다.
    • 취침 전 수면위생을 실시하고 수면방해요인(예: 추위, 열, 빛, 소음 등)을 제거한다.
  •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고 약물적 중재와의 상호작용 가능성을 평가한다.
  • 비약물적 중재는 진통제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선택되어지며, 통증완화를 위한 약물의 효과를 향상시키고(Lautenbacher et al., 2011; McCormack, 2009; Wanich, Gelber, Rodeo, & Windsor, 2011), 사용하는 약물의 용량과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약물적 중재를 대처하지는 않는다(Buffum, et al., 2006). 또한 고령자의 통증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라는 증거가 확실하지 않다(Chou, et al., 2016).
  • 대상자가 선호하는 비약물적 중재의 선택에 대해 논의하고 그들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을 결정하게 하며, 이들 선택을 준수하는 것을 권장한다(Narayan, 2010).
  • 비약물적 중재 방법을 탐구하고 선택하는 맞춤식 교육중재는 수술 후 통증관리에 대한 환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Chou, et al., 2016; Tracy, 2010).
  • 침술요법은 비약물적 중재로 수술 후 통증관리에서 마약성 진통제 복용감소 및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Ernst, Lee, & Choi, 2011; Hochberg et al., 2012), 무릎 관절 수술 후 급성통증에 효과적으로 통증감소와 운동범위를 개선시켰다는 보고가 있다(Mikashima, et al., 2012).
  • 비약물적 중재는 통증관리를 위해 약물적 중재와 함께 사용된다. 통증이 있는 사람들은 통증을 관리 하기위해비약물적중재를사용하고있을수있다. 그러나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는 모든 사람에게 일반화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비약물적 중재를 통증의 특성, 연령, 문화적 신념,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처 방된 약리학적 중재와의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평가하여야 한다. 또한 비약물적 중재는 효과성이 가장 좋 은 근거에 의해 제안되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통증관리를 위한 비약물적(신체적, 정신적)중재의 사용에 관한 최신정보에 근거해야 한다(Curry-Narayan, 2010; RNAO, 2007; Schofield et al., 2008).

4. 통증 간호 모니터링 및 기록

  • 통증관리계획에 대하여 환자 및 가족과 의사소통하고, 환자의 반응을 기록한다.
  • 환자의 통증 수준과 전반적인 진행 상황을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통증기록은 쉽게 볼 수 있도록 활력징후와 함께 기록하거나, 따로 통증 흐름표를 작성한다.
    통증 기록에는 다음을 포함한다;
    날짜, 시간, 통증강도, 통증특성과 질, 통증부위, 통증시작시간과 지속시간, 통증관리 목표, 진통제, 기타의 통증중재법, 부작용 등
  • 환자의 치료 반응에 따라 필요에 따라 치료 계획을 조정합니다.

이론적 근거

  • 기록은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위한 전문가적, 법적 요구사항이다(RNAO, 2013).
    -안전하고, 효과적이고 윤리적인 통증 간호
    -다학제팀 간의 간호의 연속성
    -의사소통: 간호계획, 사정결과, 수행된 중재의 효과, 환자에게 제공된 교육, 최적의 건강결과를 위한 추후관리 행동
  • 통증 과거력, 통증의 강도, 통증특성과 질, 통증부위, 통증시작시간과 지속시간, 통증의 완화 및 악화 요인, 통증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사회심리적인 영향, 문화적 신념, 통증관리를 위한 중재의 방법 및 효과 등을 기록하고, 이를 바탕으로 통증관리의 결과 등을 재사정하고 통증관리의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의료인들 간에 의사소통하여야 한다(Crowe, et al. 2008).

5. 환자 교육

  • 간호사는 효과적인 통증관리를 위하여 환자와 가족에게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격려한다.
  • 환자의 현재의 통증 상태에 따라 통증교육의 시기와 정도를 계획 하여야한다. 주로 통증이잘 조절 되고 있을때 교육한다.
  • 환자와 가족에게 통증에 대한 일반적 정보, 통증 사정, 약물관리, 비 약물적 관리 등의 영역을 포함한 포괄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통증 유발 요인을 인식하고 관리하기 위한 통증 관리 기술과 전략을 가르칩니다.
    -계획된 시술이나 수술과 관련된 통증 감각에 대한 정보
    -통증의 관리 또는 완화의 가능성, 통증의 중요성, 통증관리 목표 수립, 통증 조절의 장점과 중요성
    -통증과 관련된 우려와 잘못된 신념
  • 소아의 보호자에게는 발달 단계를 고려한 적절한 통증 사정방법, 진통제의 종류와 투여방법 등에 대해 설명한다.

이론적 근거

  • 환자와 가족(보호자)의 교육수준, 신념, 관심이 효과적인 통증관리에 영향을 준다. 통증계획에 포함된 약물과 비약물적 통증 관리에 대한 교육을 통해, 환자와 가족(보호자)은 통증에 대한 부정확한 신념, 걱정 을 줄이고, 통증관리와 관련된 두려움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특히 가족(보호자)은 환자의 통증, 통증의위험, 통증 형태 등에 대한 환자의 통증 호소를 믿지 않거나, 보고를하지않거나, 통증범위를 줄여서 보고하여 적절한 진통제의 사용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가족(보호자)에게 적절한 통증 및 통증관 리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Chou, et al., 2016; RNAO, 2013).
  • 주로 환자와 가족(보호자)에게 이루어지는 통증 교육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한다.
    -통증에 대한 의사소통의 중요성 강조
    -통증에 대한 의사소통의 시기와 방법
    -통증에 대한 의사소통 시 이를 의료인이 단순히 통증 호소로 간주하지 않는다는 점을 알게함
    -약물적 중재, 비약물적 중재로서의 신체적 심리적 통증관리방법에 대한 정보제공 등
  • 아동들과 부모들에게는 발달단계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여 부모들이 아동의 수술 후 통증관리를 돕도록 하여야 한다. 아동의 수술 후 통증에 대한 부모의 불안을 감소시키면 아동의 통증 호소와 통증 행위가 감소된다는 연구(Hagan, et al., 2001)에서와 같이 아동의 수술 후 경과과정과 수술 후 통증을 돕는 방법에대한 부모 교육이 아동의 수술 후 통증관리에도움이된다. 또한 부모들은 수술 후 아동의 통증상태의 평가에 대한 불확실함과 수술 후 아동이 진통제를 투여 받는 것에 대한 주저함 등이 있어서 적절한 통증 평가와 중재에 방해가 될 수 있다(Chou,etal.,2016).이에 아동과 부모의 통증관리교육에 통증의사정, 통증 중재의 방법 및 효과, 통증 중재의 중요성 등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여 효과적인 통증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Chou, et al., 2016).

급성 통증 케이스스터디 예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